"한우, 수출 길 오른다","SPAC, 제대로 알고 노려라"
2015년 11월 12일 (목) "한우, 수출 길 오른다","SPAC, 제대로 알고 노려라"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는 MBC라디오에서 방송
하는 경제전문방송입니다.
▶ 이 포스팅의 목적은 하루에 한번 방송을 글로 정리하여,
경제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것입니다.
▶ 이 글을 잘 이용하는 방법은 본문의 글만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방송이나 팟캐스트, 팟빵 등으로 직접 들으며
글과 함께 들으면 효과가 좋습니다.
▶ 30분 내의 방송이라 큰 부담이 없고, 방송 내용도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 청취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ㆍ방송 다시듣기 링크
출처 : pixabay.com
➲ 오늘의 숫자 : "175개"
금융감독원&채권은행들, 구조조정 통보한 기업 수 : 175개 기업
ㆍ작년 대비 50개 기업 늘었다.
ㆍ200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이다.
ㆍ다음달, 대기업들이 추가 선정될 예정이다.
당국이 나서서 구조조정을 하는 기업들의 기준
ㆍ기준1 : 지난 3년간 영업 적자를 기록한 기업
ㆍ기준2 : 이자보상배율이 1이하인 기업 (매년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기업)
다이어트와 구조조정
ㆍ다이어트 : 체력이 좋을 때(건강할 때) 해야 한다.
ㆍ구조조정 역시 기업 사정이 나빠질 때, 혹은 기업사정이 좋을 때 해야한다.
ㆍ시기를 다 놓치고 큰 병이 걸린 이후에는 하기 힘들다.
ㆍ지금처럼 경제가 나쁠 때는 더더욱 힘들다.
평소에 군살 없고 건강한 몸매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기업도...
➲ 차례
*오늘, 이 뉴스 : "한우, 수출 길 오른다"
*친절한 경제 : "길거리 현수막, 아무나 걸어도 되나요?"
*손에 잡히는 재테크 : "SPAC, 제대로 알고 노려라"
출처 : pixabay.com
➲ 오늘, 이 뉴스 : "한우, 수출 길 오른다"
ㆍ농림축산식품부 정병곤 검역정책과장
한우 농가의 어려움
ㆍ사료 값은 계속 오르는데, 소 값은 계속 내린다.
→ 한우농가의 시름 "소는 키울수록 손해다"
한우 수출의 길 열려
ㆍ첫 수출국 : 홍콩
한우가 수출되는 것이 이번이 처음인가?
ㆍ처음은 아니다.
ㆍ2000년, 한국에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처음이다.
ㆍ2000년 이전에는 구제역 청정국이었기 때문에 일본으로 수출했었다.
ㆍ아직 한국은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못 얻었다.
홍콩으로 수출은 어떻게 되는가?
ㆍ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얻지는 못했지만, 현재 구제역 발생이 없는 상태이다.
ㆍ홍콩에서 한국의 가축질병방역 통제능력을 인정한 듯 하다.
ㆍ1년간 구제역 발생이 없었던 시도에 한정해서 수출을 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구제역 청정국가 지위를 얻으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가?
ㆍ2가지 경우가 있다.
- 백신을 아예 하지 않는 상태에서 청정국이 되는 경우
- 백신을 하는 상태에서 청정국이 되는 경우 (한국의 경우)
ㆍ대부분의 국가의 소고기 수입 조건 : 백신을 하지 않은 상태의 청정국가의 소고기를 수입한다.
ㆍ완전무결 청정국가의 지위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홍콩에서의 한우 경쟁력
ㆍ한우의 가격, 품질면의 경쟁력은 있다고 본다.
ㆍ미국, 호주 : 가격이 싼 소고기
ㆍ일본 : 프리미엄 시장
ㆍ일본산 소고기가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이 높다.
ㆍ한우는 일본산 대비 품질이 못지 않지만, 가격은 싼 편이다.
ㆍ업계에서는 해볼만한 경쟁이라고 보고 있다.
아직 검역이 끝난 상태는 아니다.
ㆍ협상은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ㆍ현재, 홍콩 검역관 2명이 농가, 사료공장, 도축장, 가공장 등의 시설을 점검하고 갔다.
ㆍ점검결과에서 이상이 없다고 나와야 공식적으로 협상이 끝나게 된다.
홍콩은 중국시장의 관문 아닌가?
ㆍ공식적으로 홍콩과 중국의 검역체계는 다르다.
ㆍ정면으로 중국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길을 뚫어야 한다.
ㆍ홍콩에서 한우의 품질을 확인시키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중국의 검역은 어떠한가?
ㆍ중국도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지만, 구제역 발생국으로는 수입을 하지 않고 있는 국가이다.
ㆍ구제역 백신을 하는 국가에서 대해서도 수입을 통제한다.
출처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40422001266
➲ 친절한 경제 : "길거리 현수막, 아무나 걸어도 되나요?"
결론
ㆍ길거리 현수막은 모두 불법이다.
합법 현수막
ㆍ각 지자체에서 현수막의 조건을 조례로 만들어놓았다.
ㆍ이 법에 따르면, 현수막을 걸 때는 구청이나 시청에 신고를 해야하는데 현수막을 걸 수 있는 장소가 정해져있다.
ㆍ긴 기둥 두개에 현수막을 걸 수 있는 장치가 바로 그것이다.
ㆍ비용 : 15일 게시기간에 3만2천원 정도 든다.
ㆍ민간건물 벽 역시 가능하다.
ㆍ벽 면적이 2000제곱미터(700평)이상 되는 벽에만 법이 정해놓은 크기로 걸어야 한다.
ㆍ작은 건물에 붙어 있는 현수막은 불법이다.
불법 현수막
ㆍ길거리 가로수 양옆, 신호등 기둥 사이의 현수막은 모두 불법
ㆍ정당 정책 현수막 역시 불법이다.
ㆍ구청, 시청에서 단속하고, 신고하면 단속해야 한다.
ㆍ현수막 과태료 : 크기마다 과태료가 다른데, 30~40만원 정도이다.
출처 : http://www.valuewalk.com/2015/08/spac-investments/
➲ 손에 잡히는 재테크 : "SPAC, 제대로 알고 노려라"
ㆍ신한은행 PWM 압구정센터 곽상준 부지점장
SPAC이라는 금융상품
ㆍ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상장 주식이다.
ㆍ기업인수를 목적으로 미리 만들어 놓은 페이퍼 컴퍼니이다.
ㆍ증권사가 만들어 놓은 회사 껍데기만 있는 회사라고 볼 수 있다.
껍데기만 있는 페이퍼 컴퍼니를 상장시켜도 되나?
ㆍIPO의 과정(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이 기업들에게는 상당히 부담이다.
ㆍIPO기간은 2~3년 정도 걸린다.
ㆍ스타트업해서 매출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회사들은 빨리 상장시키고 싶어한다.
ㆍ빨리 상장하고 싶은 회사의 욕구와 증권회사의 욕구가 모인 것이 SPAC이다.
SPAC 회사와 합병만 하면 상장이 되는가?
ㆍSPAC으로 합병을 할 때에도 심사를 거친다.
IPO 상장
ㆍ보통 3년의 시장이 걸린다.
ㆍ매출도 있어야 하고 이익도 나야 한다.
ㆍ주식도 분산되어 있어야 한다.
SPAC 상장시 어떤 점이 단축되는가?
ㆍ증권사 선정, 주식 분산 등의 실무를 이미 상장되어 있는 SPAC과 합병하면 단축할 수 있다.
SPAC 투자시 어떤 회사와 합병하는 지 모르고 투자하나?
ㆍ맞다. 어떤 회사에 합병하는지 모르고 투자하게 된다.
ㆍ단점이다.
SPAC 투자
ㆍ일반적 SPAC 액면가는 2천원이다.
ㆍ2천원 발행하고 시장에 상장되면 2천원 근처에서 거래가 이루어진다.
ㆍ3년동안 합병에 실패하게 되면 투자해선을 하며 2천원을 돌려받는다.
ㆍ2천원에 샀다고 하면, 일종의 원금 보장형이라고 볼 수 있다.
ㆍ상장하게 된다면, 주가의 상승이 큰 폭으로 올라가게 된다.
ㆍ모두 SPAC 상장에 성공할 수는 없다.
ㆍ상장하려고 대기하는 기업의 수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ㆍSPAC의 장점 : 증권사가 발행했기 때문에 원금 손실 가능성이 낮은 채권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SPAC 투자 방법
ㆍSPAC 투자자는 한 개의 SPAC을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SPAC을 나눠서 보유한다.
ㆍ보유하고 있는 여러 SPAC 중에 한 개의 SPAC이 상장되면 전체 수익률이 올라간다.
ㆍ3년간 합병에 실패하면 원금 2천원은 돌려준다.
ㆍ너무 비싼 가격에 SPAC을 사면 위험할 수 있다.
SPAC의 구조
ㆍSPAC 구성 자본금의 90% 정도는 채권에 투자하게 되어 있다.
SPAC의 가격
ㆍ시장 상황이 좋을 때는 2100원~2200원 정도에서 거래된다.
ㆍ합병 이슈가 나면, 2천원대 후반에서 거래된다.
ㆍ그러다가 합병이 되면, 훨씬 높은 가격에서 거래된다.
SPAC의 단점
ㆍ종류가 너무 많아서 합병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
ㆍ5개 SPAC 중에 1개만 합병 성공해도 성공이라고 표현하는 수준이다.
SPAC 투자방법
ㆍ주식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듯 똑같이 투자할 수 있다.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개 없이 추락 중인 국제 원자재 가격","선진국 회사채권에 투자하는 노하우" (0) | 2015.11.16 |
---|---|
"재벌들이 차명주식을 계속 갖고 있는 속내","공인인증서는 왜 종류도 여러가지고 등록고 번거롭나요" (0) | 2015.11.14 |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선수의 포스팅 금액은 세금을 얼마나 떼나요?","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의 경제학"등 (0) | 2015.11.11 |
"해운업 위기, 합병으로 풀 문제가 아니다","전세 세입자들의 고민 상담" (0) | 2015.11.10 |
"집에 갖고 있는 돌반지, 안전하게 잘 보관하는 방법 없나요?","국제 금값의 결정 메카니즘" (0) | 2015.11.1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날개 없이 추락 중인 국제 원자재 가격","선진국 회사채권에 투자하는 노하우"
"날개 없이 추락 중인 국제 원자재 가격","선진국 회사채권에 투자하는 노하우"
2015.11.16 -
"재벌들이 차명주식을 계속 갖고 있는 속내","공인인증서는 왜 종류도 여러가지고 등록고 번거롭나요"
"재벌들이 차명주식을 계속 갖고 있는 속내","공인인증서는 왜 종류도 여러가지고 등록고 번거롭나요"
2015.11.14 -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선수의 포스팅 금액은 세금을 얼마나 떼나요?","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의 경제학"등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선수의 포스팅 금액은 세금을 얼마나 떼나요?","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의 경제학"등
2015.11.11 -
"해운업 위기, 합병으로 풀 문제가 아니다","전세 세입자들의 고민 상담"
"해운업 위기, 합병으로 풀 문제가 아니다","전세 세입자들의 고민 상담"
201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