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의 신용카드, 어떤 돈으로 결제하지?"
친절한 하나씨 "해외에서의 신용카드, 어떤 돈으로 결제하지?"
2017년 7월 13일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이하나 리포터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꼭 듣는 말
해외에 나가서 신용카드를 결제하려면 한번 꼭 물어봅니다.
"한국 돈으로 결제할래?
아니면 인도네시아 돈(현지 화폐)으로 결제할래?"
"Local or Home?
Local or Korean Won?"
이럴 때 잠시 향수병이 생겨서 한국 돈으로 결제하면 낭패를 봅니다.
무조건 현지 통화를 선택해서 결제해야 합니다.
왜 현지통화를 선택하나?
우리나라 돈을 결제 단위로 선택하는 순간, 과도한 수수료가 붙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카드로 결제를 하고 최종 청구서에 반영되는 과정을 알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을 여행중이라고 가정해보죠.
카드로 결제할 때 현지 통화인 유로를 선택했다면,
유로로 결제한 명세서가 비자나 마스터 같은 해외카드사로 갑니다.
거기서 기준 통화인 달러로 변환됩니다.
이 때 유로에서 달러로 환전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1% 정도 붙습니다.
달러로 바뀐 정보를 우리나라 카드사가 받게 됩니다.
이것을 달러로 계산하기 힘드니,
원화로 다시 한번 환전합니다.
이 때 0.2%~0.5%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러면 총 수수료가 1.5% 정도 붙겠죠?
정리해보면 현지에서 유로로 긁은 카드 결제는 1.5% 정도의 수수료가 붙어서 명세서로 나에게 날아오기 되는 겁니다.
이 수수료는 피할 수가 없습니다.
고정적으로 무조건 내야 하는 수수료입니다.
그런데 앞서 현지 통화가 아니라 한국 돈으로 계산을 하면, 평균 5%~10%의 수수료가 많습니다.
왜 이렇게 수수료가 많은데 선택하라고 하죠?
이것은 일명 'DCC'라는 자국 통화 결제 시스템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가게주인이 관광객에게 더 익숙한 통화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이 서비스를 하려면 가게주인이 포스기를 따로 선택해야합니다.
그럼 포스기를 해주는 본사가 있겠죠?
중간에 환율을 계산해 주는 은행도 있어야 합니다.
중간에 수수료를 3군데에서 나눠먹기를 하다보니 수수료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은 해외에서 카드 결제는 현지 화폐로 하라는 겁니다.
Euro or Dollar?
이따금씩 유럽에서 다른 화폐로 한국 돈이 아닌 달러로 결제할거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한 단계가 줄어들어서 싼 것이 아니냐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이 때도 현지 통화가 아닌 다른 나라 통화로 바꿔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DCC' 수수료는 그대로 붙습니다.
그러니까 무조건 현지 통화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는 MBC라디오에서 방송하는 경제전문방송입니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하루에 한번 방송을 글로 정리하여, 경제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 글을 잘 이용하는 방법은 본문의 글만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방송이나 팟캐스트, 팟빵 등으로 직접 들으며 글과 함께 들으면 효과적입니다.
방송 내용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 청취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방송 다시듣기 링크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0) | 2017.07.19 |
---|---|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0) | 2017.07.19 |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0) | 2017.07.18 |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1) | 2017.07.18 |
"주식에서 무상감자와 유상감자가 뭔가요?" (0) | 2017.07.13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2017.07.19 -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2017.07.19 -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2017.07.18 -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2017.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