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Wisdom Box

경제 상식이 궁금해?

"스틱 PC 트랜드","빈병보증금의 경제학"

  • 2015.09.05 00:32
  • ✱손에 잡히는 경제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는 MBC라디오에서 방송

하는 경제전문방송입니다.

▶ 이 포스팅의 목적은 하루에 한번 방송을 글로 정리하여,

경제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것입니다.

▶ 이 글을 잘 이용하는 방법은 본문의 글만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방송이나 팟캐스트, 팟빵 등으로 직접 들으며

글과 함께 들으면 효과가 좋습니다.

▶ 30분 내의 방송이라 큰 부담이 없고, 방송 내용도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 청취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ㆍ방송 다시듣기 링크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표준FM 월~금 오전 8시 35분(토,일 8시 10분 ~ 9시)


 2015년 9월 5일(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스틱 PC 트랜드","빈병보증금의 경제학"등 


➲ 오늘의 숫자 : "2만 3천명"


외국인 관광객 수 증가

ㆍ메르스 여파로 급감했지만, 최근 회복세 

ㆍ2만 3천명 정도의 중국관광객 입국 : 메르스 발생 전인 5월 수준보다 많음

ㆍ중국 관광객 호재 : 9월 중추절 연휴, 10월 국경절 연휴

ㆍ2015년, 전체적으로 작년 수준 회복 예상

ㆍ면세점 매출 : 전년 동기 대비 80~90% 수준으로 상승

ㆍ중국경기 악화 → 관광업계만 보면 호재

ㆍ불경기 영향으로 비용 절감 차원에서 가까운 한국을 찾을 가능성 높음

ㆍ싼 맛에 가는 나라가 될 것인가? 꼭 가보고 싶은 나라인가?

ㆍ저가 관광에 대한 관리, 바가지 쇼핑에 대한 규제, 다양한 볼거리&관광상품 필요

현재 시급한 것은?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대비하고, 어떻게 맞이하는가'가 중요 


➲ 차례


*트랜드 리포트 : 스틱 PC 트랜드

ㆍ문 스타트업 문형진 소장

ㆍ정보 저장을 위한 USB에 PC기능을 탑재?

*손에 잡히는 퀴즈 : "소비자 물가지수는 어느 기관에서 조사를 할까요?"

ㆍ차예린 아나운서

*손에 잡히는 수능경제 : "소유효과"

ㆍEBS 수능강사 문병일 선생님

*현장 경제 리포트 : "빈병보조금의 경제학"

ㆍ이하나 리포터

ㆍ빈병 보증금 : 소매점에 빈병을 가져다주면 주는 돈

ㆍ올해 : 40~50원 수준

ㆍ내년 : 100원 이상으로 인상!




➲ 트랜드 리포트 : 스틱 PC 트랜드


ㆍ문스타트업 문형진 소장

스틱PC?

ㆍ스틱PC : 작은 USB에 PC기능 탑재

ㆍ국내에서도 일부 소비자들 사용 중

ㆍ제품의 의도는? 어떤 효과? 시장성은? PC시장에 대한 영향은?

그렇게 PC가 작아질 수 있는가?

ㆍ가능하다

어떤 종류가 있는가?

ㆍ인텔 : 컴퓨트 스틱

ㆍ레노버 : 아이디어 센터 스틱 300

ㆍ통칭으로 USB PC or 스틱 PC

ㆍ인텔 컴퓨스틱 : 초보바 크기에 저장기능+램+블루투스+와이파이+마우스 연결 등의 다양한 기능 탑재

사용방법은?

ㆍ모니터, TV 등의 HDMI 단자에 연결하면, 컴퓨터 기능을 한다

가격은?

ㆍ인텔 : 149달러

ㆍ레노버 : 129달러

ㆍ구글 : 100달러 이하라고 발표 (인터넷 브라우저, 스트리밍 특화, 다른 USB PC보다 기능은 낮음)

작은데 싼 이유는?

ㆍ일반적인 PC 대비 : 적은 저장공간, 느린 속도

ㆍ전략적 판매 : 작지만 싸다!

인기를 끄는 이유는?

ㆍ미국부터 시장 확대 : 이미 TV+USB 스틱 활성화 (USB+TV 스트리밍 기능, 아마존 TV스틱 등)

ㆍTV+USB 스틱에 부가적으로 PC기능을 탑재

ㆍ컴퓨터 대체로 출시한 것이 아니라, TV보는 기능+다른 PC기능도 활용하게 끔 상품화

ㆍ편리성 : 집에서 작성한 자료를 TV만 있으면 밖에서도 바로 볼 수 있음

이미 스틱 PC는 있었다?

ㆍ중국 업체들이 브랜드 없이 판매하는 것을 보고 메이저 업체 뛰어듦

ㆍ제품은 이미 몇년 전부터 출시

ㆍ메이저 업체 : 기존 제품을 보완해서 출시

PC는 작을수록 방열처리가 쉽지 않은데?

ㆍ사용자들의 평가 : 팬은 있지만 발열은 있음, 개선 필요

스틱 PC의 사양은?

ㆍ인텔 : 윈도우 8.1탑재

ㆍ레노버 : 윈도우 8.1탑재 + 윈도우10 업그레이드 가능

ㆍ사양 : CPU 속도 : 1.8 GHz / 메모리 : 2G / 저장공간 : 32G / 와이파이 / 블루투스

일반 PC와 차별점은?

ㆍ작다

ㆍ가격이 싸다

ㆍ키오스크, 공항 안내판 : 좋은 컴퓨터일 필요가 없다



➲ 손에 잡히는 수능 경제 : 소유효과


ㆍEBS 수능강사 문병일 선생님

100% 환불 마케팅! 무료 체험 후 구매 결정하세요!

ㆍ화장품 : 2주 후 구매 결정하세요 마케팅

ㆍ안마의자 : 1주 후 구매 결정하세요 & 무료 배송

퀴즈! 100% 환불 마케팅 상품의 경우, 실제 환불률은?

ㆍ실제 환불률 : 1~2% 남짓 수준

경제 이론

ㆍ사람의 심리 : 자신이 소유한 재화의 가치 > 소유하지 않은 재화의 가치

ㆍ소유효과(부존효과) : 한번 소유하면 포기하지 않으려는 경향 (행동경제학)

김치 냉장고 품질 평가단 사례

ㆍ전자회사에서 김치냉장고를 출시하면서 품질 평가단 모집

ㆍ평가기간 : 3개월

ㆍ모집조건 : 3개월 사용 후, 구매결정

→ 3개월 뒤, 구매율 100%!

ㆍ김치 냉장고의 성능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

사람의 심리는?

ㆍ우연히 좋은 제품을 만나서 환불을 안하는 것이 아니다

ㆍ좋은 제품이든 안 좋은 제품이든 사용하면 만족도가 올라간다

ㆍ쓰지 못하는 재화보다 높게 평가하고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부동산의 경우

ㆍ어떤 부부의 부동산 구매 : 꾸준히 모아온 2억 + 3억 대출 → 5억 부동산 구매

ㆍ부부의 가장 큰 관심 : 집 값의 상승

ㆍ부부의 심리 : 실제 가치 5억보다 소유하고 있는 집 값은 더 높다고 생각

집 값이 오르거나 내리면?

ㆍ집 값 1억 상승시 : 이익 실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는 경향이 크다

ㆍ집 값 하락시 : 쉽게 팔지 못한다

ㆍ심리 : 내 집은 떨어지면 안되는 것이고 언젠가 오를 것이라고 믿는다

ㆍ의미 : 손실을 최소화 한다고 믿으며 버틴다

나의 선택은?

ㆍ심리 : 내 선택은 좋은 것 & 저평가 → 그러니까 앞으로도 좋을 것이다

ㆍ수익의 기쁨(집값 1억 상승) 보다 손실의 슬픔(집 값 1억 하락)이 2~3배 더 크다

ㆍ고통을 느끼기 싫어서 팔지 않는다

수능 문제는?

ㆍ지문 : 시장에서 소유효과가 강하게 작용 한다면?

ㆍ집 매도자 (소유효과 있음) : 적정 가격보다 호가를 높게 부른다 (소유효과 영향)

ㆍ집 매수자 (소유효과 없음) : 적정가보다 호가가 높다면 거래가 실종

ㆍ문제 : 수요/공급 그래프로 어떻게 이동할 것인가?

자이가닉 효과

ㆍ인터넷 업체 광고(마이클럽) : "선영아 사랑해!"

ㆍ티저광고 : 상품이나 이름, 관련된 정보를 주지 않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광고

ㆍ자이가닉 효과 : 갖지 못한(갖고 있는 것보다), 미완성된 것(완성된 것보다)을 더 잘 기억하고 집착하는 현상

ㆍ연예의 경우 : 잘 되었을 수도 있었으나 잘 안되서 헤어졌던 여자친구를 실제보다 더 부풀려서 과도하게 평가하는 현상

ㆍ부동산의 경우 : 2~3년 전보다 집 값이 오르면, '아 그때 집을 샀어야 했는데...' 생각했다면...

ㆍ경제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으면? 그 때 집을 사지 않아서라고 생각한다

ㆍ문제의 원인을 과거에 놓쳤던 탓으로 돌린다

집 값 상승 경험을 반복적으로 겪으면?

ㆍ전세값이 계속적인 상승 : 자이가닉 효과 반복 경험

ㆍ이런 효과가 쌓이면,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

ㆍ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

ㆍ자이가닉 효과에 감염이 되면, 소유효과에 의한 높은 호가에도 불구하고 매매가 성사되기도 함

경제는 심리학의 일종이다
 경제의 그래프는 결국 사람들이 만드는 것이다 


➲ 손에 잡히는 퀴즈


ㆍ차예린 아나운서

ㆍ높은 소비자 체험 물가 : 장 보러 가면 물가가 너무 비싸요!

ㆍ소비자 물가지수 : 지수로 보면, 우리나라 물가는 높은 편이 아님

ㆍ전문가 : 물가가 너무 낮아서 걱정

도대체 누가 조사하길래 이렇게 체감 물가와 물가통계의 차이가 나느냐?
어느 기관일까?
1. 국세청 / 2. 통계청 / 3. 한국은행




➲ 현장 경제 리포트 : 빈병 보증금의 경제학


ㆍ이하나 리포터

빈병 보증금이란?

ㆍ빈병 보증금 : 다 마신 맥주병, 소주병을 소매점에 가져다주면 돌려주는 돈

ㆍ1994년 이후 동결 이후, 내년 1월부터 큰 폭 상승 예정

ㆍ공식 명칭 : 빈용기 보증금 제도

ㆍ해당 용기 : 유리병에만 해당 (통상적으로 빈병, 공병 보증금 제도로 불림)

ㆍ비슷한 사례 : 책 대여점의 보증금 제도 (책 훼손 or 분실에 대한 보증금)

ㆍ현재 : 소주병 = 40원 / 맥주병 = 50원

ㆍ보증금 명목 : 오염물질 처리비용

ㆍ개념 : 그대로 가져오면 보증금을 돌려주지만, 분실&훼손시에는 미반환

ㆍ보증금 지급 주체 : 주류회사

ㆍ주류회사에 가져다 주기 힘드니 소매점에 가져다주면 지급함

얼마나 오르지?

ㆍ보증금 상승

ㆍ소주병 = 40원 → 100원

ㆍ맥주병 = 50원 → 130원

ㆍ소주병(미니어처) = 20원 → 70원

ㆍ1리터 이상 = 100원~300원 → ~350원 (디자인에 따라 다름)

ㆍ소주/맥주 값 상승 : 보증금 상승 폭만큼 오를 예정 (다시 돌려줘야 하니까)

ㆍ주류업체 입장 : 가격 상승에 심기가 불편

왜 올리는데?

ㆍ이유 : 가정으로부터의 빈병 회수율이 낮다

ㆍ회수율 3~4% : 100개 사가면 3~4개 들고 온다

ㆍ나머지 97개 병(재활용 업체가 보증금 챙김) : 아파트 분리수거날 버리림 → 재활용업체 → 주류회사

ㆍ재활용업체 지급 보증금 : 480억원 규모

ㆍ재활용업체가 녹여서 파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주류업체 가져다준다

주류병은... 재활용? No, 재사용? Yes

ㆍ재활용 : 깨고 녹여서 주원료로 만듦

ㆍ재사용 : 그대로 씻어서 사용

ㆍ깨진 것은 없나, 오염물질은 없나 확인 후, 세척 후 재사용

ㆍ맥주병 신규제작비용 : 180원 (보증금 50원 대비 경제적)

ㆍ재활용업체가 대량으로 수거할 경우 : 금이 가고 깨질 확률이 높아서 재사용 확률이 크게 낮아짐

나라별 재사용 횟수

ㆍ한국 : 1병당 8회

ㆍ일본 : 1병당 20회 이상

ㆍ독일 : 1병당 50회 이상

ㆍ보증금 인상 취지 : 각 가정에서 고이 모아서 달라

보증금 제도에 대해서

ㆍ빈병을 받는 곳(보증금 주는 곳) : 주류를 판매하는 소매점(마트, 수퍼, 편의점 등, 음식점 제외)

ㆍ주류를 산 소매점에 상관없이 모든 주류 판매 소매점에서 받는다

ㆍ소매점은 모은 빈병만큼 주류회사에서 보증금을 지급

빈병 받아주는 소매점은 손해아닌가?

ㆍ소비자 → 소매점 (소비자에게 50원 지급) → 주류회사 (소매점에게 50원 지급) 이런 구조 아님!

ㆍ취급수수료 : 주류회사에서 수고비로 소매점에 보증금외에 더 지급 (소주병:16원, 맥주병:19원)

ㆍ결과적으로 주류회사 보증금 지출액 : 40원이 아니라 56원 지출

ㆍ원래 16원을 소매 & 도매상이 나누어야하지만, 도매상이 다 가로채는 경우도 다분

취급 수수료도 인상

ㆍ소매상 입장 : 빈병 관리에 비해 낮은 수수료

ㆍ취급수수료 인상 : 33원 인상 = 15원(소매상) + 18원(도매상), 소주병 맥주병 동일

소매상에서 귀찮아서 빈병을 안받으면?

ㆍ병파라치 운영 : 빈병 안받는 곳 신고하면 5만원 보상금 지급

ㆍ소매상 입장에선 부담

모든 유리병에 모두 보증금을 주나?

ㆍ병 라벨지에 보증금반환에 대한 고지가 있는 병만 해당

ㆍ발효주, 증류주, 청량음료가 담긴 병만 가능 : 콜라, 사이다, 소주, 맥주

ㆍ이유 : 수요가 많고 전국적으로 회수가 가능

ㆍ모양이 같은 소주, 맥주병은 주류회사 종류에 관계없이 재사용 가능

내년 시행인데, 올해부터 모아서 내년에 다 팔면?

ㆍ담배가격 상승 때, 사재기같은 현상이 일어나면 어쩌지?

ㆍ환경부 : 신병과 구병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마크 부착 예정

빈병의 가치 상승

ㆍ보증금을 높이는 것이 빈병 재활용률을 높이는 방법

ㆍ주류업체 입장 : 보증금 인상분만큼 제품 가격 상승으로 소비 감소 우려

회수율을 높이려면? 독일의 경우

ㆍ빈캔도 보증금이 있음

ㆍ빈캔, 빈병을 받는 무인 자판기 곳곳에 설치

ㆍ눈치 안보고 쉽게 보증금 수령 가능

ㆍ한국도 대형마트에 있긴 하지만, 안에 있고 불편함


➲ 손에 잡히는 퀴즈 정답 : 2번 통계청


소비자 물가지수란?

ㆍ소비자 물가지수 : 전국 37개 도시지역에서 소비자들이 돈을 많이 쓰는 품목 순서대로 481개 품목 선정, 가격조사 후, 평균값을 낸다

ㆍ8월 소비자 물가지수 : 0.7% 상승 (1년 전 대비), 9개월째 0%대 기록 중

ㆍ유럽등 마이너스 기록 중인 나라가 많아지고 있음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ㆍ물가 하락 → 기업 투자 위축 → 소비자 수입 감소 → 경기침체


 END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도 나라살림, 이렇게 꾸려집니다","수입차 보험료가 오르는 이유는 뭡니까?"  (3) 2015.09.09
"달러-원 환율 5년 만에 1200원대 진입, 배경과 전망은?","전세 보증금 올려주면 이것 만은 꼭 챙기세요"  (0) 2015.09.09
"시중 금리가 오르면 채권 투자자들은 왜 손해를 보나요?"  (0) 2015.09.07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왜 우리나라에서 달러가 빠져나가나요"  (0) 2015.09.04
"주민세 인상률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는?", "미국 금리 인상과 채권투자"  (2) 2015.09.04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달러-원 환율 5년 만에 1200원대 진입, 배경과 전망은?","전세 보증금 올려주면 이것 만은 꼭 챙기세요"

    "달러-원 환율 5년 만에 1200원대 진입, 배경과 전망은?","전세 보증금 올려주면 이것 만은 꼭 챙기세요"

    2015.09.09
  • "시중 금리가 오르면 채권 투자자들은 왜 손해를 보나요?"

    "시중 금리가 오르면 채권 투자자들은 왜 손해를 보나요?"

    2015.09.07
  •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왜 우리나라에서 달러가 빠져나가나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왜 우리나라에서 달러가 빠져나가나요"

    2015.09.04
  • "주민세 인상률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는?", "미국 금리 인상과 채권투자"

    "주민세 인상률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는?", "미국 금리 인상과 채권투자"

    2015.09.04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Wisdom Box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 Wisdom Box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미디어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모두 보기 (558)
    • ✱손에 잡히는 경제 (552)
    • ✱Card (0)
    • ✱Apps (4)
    • ✱Admin (0)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미국 기준금리 인상
  • 뉴욕증시
  • K뱅크
  • 미국 금리 인상
  • 대우조선해양
  • 가계부채
  • 폴라리스 오피스 아이폰
  • 좋은 습관
  • 전체 보기…

나의 외부 링크

  • 빈누::파이낸셜프리덤(Financial Freedom)
  • 마술사의 시장읽기
  • 시장을 보는 눈
  • 칸타빌레님의 가치투자의 정석
  • 송종식의 IT와 가치투자 이야기
  • 다빈치연구소
  • 황약사의 금융이야기
  • 어반님 블로그임
  • 뱅커두부의 코멘팅랜드
  • Wine, 요리, Jazz & 행복한 치과의사
  • 100억 PLAN A to Z
  • 금융과 잡동사니
  • 김배당의 배당 주식 연구소
  • Dividend House
  • 어흥 사자마음
  • on the other hand
  • 양창호 교수 블로그
  • it 뉴스
  • MSK POST
  • Life is an egg
  • Readiz - Read easy
  • 블로그채널
  • 수익형 인터넷 헤드쿼터
  • likecoke
  • 프라치노 공간
  • 김진옥 요리가 좋다

정보

WisdomBox의 Wisdom Box

Wisdom Box

WisdomBox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WisdomBox.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