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Wisdom Box

경제 상식이 궁금해?

"해외에서의 신용카드, 어떤 돈으로 결제하지?"

  • 2017.07.18 15:32
  •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하나씨 "해외에서의 신용카드, 어떤 돈으로 결제하지?"


 2017년 7월 13일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이하나 리포터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꼭 듣는 말

해외에 나가서 신용카드를 결제하려면 한번 꼭 물어봅니다.

"한국 돈으로 결제할래?
아니면 인도네시아 돈(현지 화폐)으로 결제할래?"

"Local or Home?
Local or Korean Won?"

이럴 때 잠시 향수병이 생겨서 한국 돈으로 결제하면 낭패를 봅니다.
무조건 현지 통화를 선택해서 결제해야 합니다. 

왜 현지통화를 선택하나?

우리나라 돈을 결제 단위로 선택하는 순간, 과도한 수수료가 붙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카드로 결제를 하고 최종 청구서에 반영되는 과정을 알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을 여행중이라고 가정해보죠.

카드로 결제할 때 현지 통화인 유로를 선택했다면,
유로로 결제한 명세서가 비자나 마스터 같은 해외카드사로 갑니다.
거기서 기준 통화인 달러로 변환됩니다.
이 때 유로에서 달러로 환전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1% 정도 붙습니다.

달러로 바뀐 정보를 우리나라 카드사가 받게 됩니다.
이것을 달러로 계산하기 힘드니,
원화로 다시 한번 환전합니다.
이 때 0.2%~0.5%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러면 총 수수료가 1.5% 정도 붙겠죠?
정리해보면 현지에서 유로로 긁은 카드 결제는 1.5% 정도의 수수료가 붙어서 명세서로 나에게 날아오기 되는 겁니다.

이 수수료는 피할 수가 없습니다.
고정적으로 무조건 내야 하는 수수료입니다.

그런데 앞서 현지 통화가 아니라 한국 돈으로 계산을 하면, 평균 5%~10%의 수수료가 많습니다. 


왜 이렇게 수수료가 많은데 선택하라고 하죠?

이것은 일명 'DCC'라는 자국 통화 결제 시스템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가게주인이 관광객에게 더 익숙한 통화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이 서비스를 하려면 가게주인이 포스기를 따로 선택해야합니다.
그럼 포스기를 해주는 본사가 있겠죠?
중간에 환율을 계산해 주는 은행도 있어야 합니다.
중간에 수수료를 3군데에서 나눠먹기를 하다보니 수수료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은 해외에서 카드 결제는 현지 화폐로 하라는 겁니다. 


Euro or Dollar?

이따금씩 유럽에서 다른 화폐로 한국 돈이 아닌 달러로 결제할거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한 단계가 줄어들어서 싼 것이 아니냐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이 때도 현지 통화가 아닌 다른 나라 통화로 바꿔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DCC' 수수료는 그대로 붙습니다.

그러니까 무조건 현지 통화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는 MBC라디오에서 방송하는 경제전문방송입니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하루에 한번 방송을 글로 정리하여, 경제에 대한 안목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 글을 잘 이용하는 방법은 본문의 글만 눈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방송이나 팟캐스트, 팟빵 등으로 직접 들으며 글과 함께 들으면 효과적입니다.

 방송 내용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 청취자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방송 다시듣기 링크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 표준FM 매일 오전 11시 10분 ~ 12시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손에 잡히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0) 2017.07.19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0) 2017.07.19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0) 2017.07.18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1) 2017.07.18
"주식에서 무상감자와 유상감자가 뭔가요?"  (0) 2017.07.13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선물과 옵션이 무슨 뜻인가요?"

    2017.07.19
  •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개인회생, 개인파산, 신용회복의 장단점은?"

    2017.07.19
  •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환전! 어떻게 하면 싸게 할까?"

    2017.07.18
  •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2017년 우리나라 최저 임금은 얼마일까요?"

    2017.07.18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Wisdom Box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Wisdom Box

  • Wisdom Box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미디어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모두 보기 (558)
    • ✱손에 잡히는 경제 (552)
    • ✱Card (0)
    • ✱Apps (4)
    • ✱Admin (0)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대우조선해양
  • 가계부채
  • 좋은 습관
  • K뱅크
  • 미국 기준금리 인상
  • 뉴욕증시
  • 폴라리스 오피스 아이폰
  • 미국 금리 인상
  • 전체 보기…

나의 외부 링크

  • 빈누::파이낸셜프리덤(Financial Freedom)
  • 마술사의 시장읽기
  • 시장을 보는 눈
  • 칸타빌레님의 가치투자의 정석
  • 송종식의 IT와 가치투자 이야기
  • 다빈치연구소
  • 황약사의 금융이야기
  • 어반님 블로그임
  • 뱅커두부의 코멘팅랜드
  • Wine, 요리, Jazz & 행복한 치과의사
  • 100억 PLAN A to Z
  • 금융과 잡동사니
  • 김배당의 배당 주식 연구소
  • Dividend House
  • 어흥 사자마음
  • on the other hand
  • 양창호 교수 블로그
  • it 뉴스
  • MSK POST
  • Life is an egg
  • Readiz - Read easy
  • 블로그채널
  • 수익형 인터넷 헤드쿼터
  • likecoke
  • 프라치노 공간
  • 김진옥 요리가 좋다

정보

WisdomBox의 Wisdom Box

Wisdom Box

WisdomBox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WisdomBox.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